‘화학‧의료 분야’ PCT 국제특허출원 최근 5년 연속 증가세
- 최근 5년간(’14~’18) 특허청에 접수된 화학·의료분야 PCT 국제특허출원 동향 분석 -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우리청에 접수된 화학‧의료 분야의 PCT 국제출원은 연평균 11.2%의 높은 성장세로 증가(’14년 3,126건 → ’18년 4,772건)했다. 전체 PCT 국제출원이 연평균 6.6%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높아 이 분야에서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특허출원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PCT 국제출원 전체 및 화학‧의료 분야 현황>
화학‧의료 분야의 세부기술별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유기정밀화학 19.7%, 식품화학 17.6%, 재료/야금 17.3%, 의료기술 13.9%, 의약 11.7%, 표면기술/코팅 11.2%, 바이오기술 10.6% 순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성장세에 힘입어 전체 기술분야 중 화학‧의료분야의 점유율은 ’14년 25.1%에서 ’18년 29.3%로 늘어났으며, 기술별 점유율을 보면 의료기술 21.1%(4,176건), 유기정밀화학 11.5%(2,278건), 의약 11.1%(2,197건), 바이오기술 11.0%(2,178건) 순으로 화학‧의료 분야에서는 의료기술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러한 화학‧의료 분야의 PCT 국제출원 증가는 정밀화학에 기반을 둔 융·복합 신소재 및 미래형 헬스케어와 관련한 해외 시장진출의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화학‧의료 분야의 출원인 유형별 증가율을 살펴보면, 중소기업이 14.5%, 대학 13.3%, 대기업 9.2%, 중견기업 9.1%, 연구기관 8.2% 순으로 중소기업과 대학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최근 5년간(’14~’18) PCT 국제출원의 화학‧의료 분야 출원인 유형별 출원 현황>
출원인 유형별 점유율은 대기업 26.9%, 중소기업 26.6%, 대학 17.0%, 중견기업 10.4%, 연구기관 6.0% 등으로 전체 기술분야*에서 대기업 점유율이 40.3%인 것을 감안하면 대기업 편중현상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체 기술분야 출원인 유형별 점유율: 대기업 40.3%, 중소기업 24.0%, 대학 8.4%, 중견기업 7.6%, 연구기관 3.8%
이는 지재권 보호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화학 소재 및 의료 분야의 특성상 출원인 유형을 가리지 않고 글로벌 특허권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출원인을 살펴보면, 대기업은 엘지화학, 포스코, 삼성전자, 씨제이 순이며, 중견기업은 아모레퍼시픽, 한미약품 순이고, 중소기업은 덕산네오룩스, 아모그린텍 순이었다.
또한, 연구기관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순이며, 대학은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등이었다.
특허청 국제특허출원심사1팀장은 “융·복합 신소재 및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의 약진으로 화학·의료 분야의 PCT 국제출원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산업성장에 기초가 되는 첨단소재의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기술경쟁력 우위를 점유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성숙 및 글로벌 시장 변화에 맞춰 특허권 확보가 유리한 PCT 국제출원 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출처: 특허청]